뉴스

뉴시스

전남지사, 김영록 32% 독주···주철현·신정훈·이개호 추격[지선 D-1년]

입력 2025.06.23. 18:01
코리아리서치에 의뢰 뉴시스·무등일보·광주MBC 공동조사
김 지사, 선호도 32%·적합도 37% 1위…동부권에서도 우위
'중앙·지방 정치·행정 경험' 중시…30%대 후반 부동층 변수
[무안=뉴시스] 전남지사 후보 선호도 여론조사 결과. (그래픽=최희영) *재판매 및 DB 금지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내년 6월3일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실시한 전남지사 후보 선호도와 여당 후보적합도 조사에서 3선에 도전하는 현직 김영록 지사가 넉넉한 격차로 선두를 달리는 것으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현직 프리미엄을 지닌 김 지사의 '풀타임 3선' 도전에 맞서 출마 채비를 갖추고 있는 3∼4선 중진 의원들이 추격하는 형국이다.

뉴시스 광주·전남본부와 무등일보, 광주MBC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사 전문기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0∼21일 전남 지역 만18세 이상 유권자 802명을 대상으로 차기 전남지사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재선 도백(道伯)인 더불어민주당 김영록 지사가 32%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인 재선 주철현(여수 갑) 의원이 9%,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인 같은 당 3선 신정훈(나주·화순), 문재인 정부 농림부장관 출신 4선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의원이 나란히 6%로 뒤를 이었다. 더불어민주당 3선 서삼석(영암·무안·신안) 의원과 김화진 국민의힘 전남도당위원장은 각각 4%와 3%로 후순위로 밀렸다.

김 지사는 모든 연령층에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특히 40, 50, 60대와 70세 이상 응답층에서는 30%대의 지지율을 기록했고, 농림수산업 종사자와 진보 진영에서는 나란히 44%와 41%의 압도적 지지세를 과시했다. 김 지사는 특히, 동부권(여수·순천·광양·고흥·보성·구례·곡성)에서 28%로, '동부권 대표주자'를 표방하고 나선 주 의원을 10% 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무안=뉴시스] 전남지사 더불어민주당 후보 적합도 여론조사 결과. (그래픽=최희영)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김 지사는 더불어민주당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도 37%로, 주철현(10%)·신정훈(6%), 서삼석(6%), 이개호(6%) 의원 등 2위 그룹을 멀찌감치 따돌렸다. 60대(51%), 서남권(46%), 농림수산업 종사자(49%), 진보 성향(44%), 민주당 지지층(42%)이 김 지사의 지지세를 이끌었다. 동부권 지지율도 35%로, 동부권 주자 주 의원을 더블스코어로 앞질렀다.

'전남지사 경력 기준으로 어떠한 인물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유권자 40%, 10명 중 4명 꼴로 '중앙과 지방 정치·행정 경험이 있는 인물'을 첫 손에 꼽았다. 이어 '지방행정과 지방의회 등 지역활동 인물'(26%), '중앙행정부처의 장·차관 등 관료 출신'(9%), '시민사회단체 경력'(8%), '법조인·교수 등 전문직 출신'(4%)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도와 적합도 조사에서 '모름 또는 무응답'한 부동층이 각각 39%와 35%에 달한 점은 변수로 풀이된다.

선호도와 적합도 모두 연령별로는 18∼29세, 직업별로는 학생층에서 부동층이 60%대에 달했고, 30대의 50%, 동부권 41%, 화이트칼라·주부 41%, 중도층 44%, 개혁신당 지지층 81%, 조국혁신당 지지층 41%가 두터운 부동층을 형성, 떠 다니는 표심 잡기가 중요한 관전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또 중위권 후보들 간 합종연횡이나 후보 단일화, 조국혁신당 후보 출전 여부도 당내 경선과 본선에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활용,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전남 도민 만18세 이상 남녀 4668명과 통화, 이 가운데 802명이 응답을 완료해 응답률은 17.2%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다.

피조사자는 2025년 5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에 따라 지역·성·연령별 가중치를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 본 매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