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시스

"고속철도 반드시 유치" 해남군, 국가계획 반영 위해 분주

입력 2024.11.27. 13:35
TF팀 구성해 관계기관 접촉, 국토부에 건의서 등 전달
내달 18일 국회서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 토론회
[해남=뉴시스]서울~제주 고속철도 연결 예상도. (사진=해남군 제공) 2024.11.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해남=뉴시스] 박상수 기자 = 전남 해남군이 '서울~제주 고속철도' 유치 TF팀을 꾸린데 이어 공감대 형성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분주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해남군은 오는 12월18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위한 서울~제주 고속철도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해남군과 완도군, 박지원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토론회에서는 전문가들이 참여해 사업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추진방안에 대한 토론이 벌어진다.

서울~제주 고속철도 건설사업은 총사업비 27조가 소요되는 초대형 국가 프로젝트다. 각종 기상이변으로 매년 1500여건의 결항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제주국제공항의 대안 노선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해남군은 지난 2월 영암군, 완도군과 함께 서울~제주 고속철도 건설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사업으로 반영해 줄 것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앞서 지난해에는 고속철도 유치를 위한 TF(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관련기관을 수차례 방문해 사업의 필요성을 알렸으며, 11월에는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서울~제주 고속철도 노선은 목포에서 영암, 해남, 완도를 잇는 지상 철도 구간과 완도에서 제주까지 해저터널을 연결하는 구간으로 이뤄진다.

3개 군은 막대한 사업비와 제주도의 반대 여론을 감안해 1단계로 영암과 해남, 완도로 이어지는 육지 구간을 먼저 연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 해남군은 호남고속선(서울~목포)과 남해선(임성~보성)을 연결해 서울에서 출발하는 고속열차가 무안공항을 거쳐 계곡면에 위치한 땅끝해남역까지 운행하는 방안도 함께 건의 중이다.

호남고속선과 남해선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 해남에서도 환승 없이 무안국제공항과 서울까지 다다를 수 있게 되며, 남해안권 접근성 향상으로 신규 관광상품 개발은 물론 지역 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올해 광주~해남 고속도로 사업이 예비타당성을 통과하면서 앞으로 지역 교통여건 개선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이번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도 해남지역 고속철도 연결이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2026년부터 2035년까지의 국가철도망 계획 수립을 위한 것으로, 내년 상반기 대국민 공청회 등의 절차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은 10년 단위로 수립하며 5년에 한 번씩 수정 보완된다.

[해남=뉴시스]2023년 11월 열린 해남완도제주 고속철도 연결 토론회. (사진=해남군 제공) 2024.11.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parks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 본 매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