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톡

나홀로 아파트 마저 발묶은 토허제…매물품귀 강남은 자고 일어나면 신고가

2025-06-11 10:48
조회 143
댓글 0

토지거래허가 규제와 관련한 역설적 상황이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다. 구 단위 아파트 통규제로 인해 저가 아파트는 규제 대상에 편입되는 반면, 고가 연립주택은 규제에서 제외되며 형평성 논란이 제기된다. 또 토허제 실시 이후 실거주 목적 주택 매수만 가능해 매물이 시장에서 급감한 가운데 매수자들이 ‘울며 겨자 먹기’로 최고가에 주택을 매수하는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토허제의 수요 억제 약발도 떨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과 관련한 민원이 쇄도하고 있다. 우선 강남 3구와 용산구에 위치한 나 홀로, 저가 아파트 집주인들의 불만이 크다. 이들 주택은 시세가 4억~5억원 수준으로 주택 가격이 높지 않고, 투기 수요가 유입될 우려도 작지만 행정구역상 규제 지역에 위치한다는 이유로 토지거래허가 대상에 포함됐다. 이 때문에 집주인들이 주택 매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표적으로 용산구 도원동 제일아파트, 도원아파트, 용문동 대성아파트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용산구의 한 나 홀로 아파트 집주인은 “가뜩이나 규모가 작은 단지여서 주택 매도가 어려운데, 토허제까지 겹치면서 집을 보러 오겠다는 매수자가 아예 사라져버렸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하지만 서울시는 “규제엔 기준이 필요하고, 예외를 두면 오히려 규제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토허제 효과가 두 달도 채 가지 못하고 강남권을 중심으로 연일 신고가 거래가 체결되며 규제 당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송파구 잠실 엘스 아파트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31억4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지난 2월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되며 국민 평형이 30억원을 돌파한 뒤 허가구역 재지정으로 4월 한 달간 거래가 없다가 5월부터 속속 거래가 체결되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91㎡도 지난달 44억원에 거래되며 지난 3월 최고가(42억7500만원)를 경신했다.

    최근 본 매물이 없습니다.